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논문검색

홈 • 학회지 • 논문검색

pISSN: 1975-759X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2 (2020)
pp.85~113

DOI : 10.32451/KJOAPS.2020.16.2.085

- 우울성향 청소년의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체험연구 : René Magritte의 작품을 중심으로 -

박정선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과학과 청소년상담전공 박사과정)

김연수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과학과 청소년상담전공 석사과정)

허난설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조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감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우울성향 청소년의 치료 경 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울수준이 중등도 이상인 고 등학교 여학생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해 2019년 6월17일부터 7월24일까지 주2회씩 선행 연구를 통해 고안한 명화감상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 구방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과정에서 도출된 구성요소는 ‘고통을 회 상하는 나’, ‘방향을 잃고 포기하는 나’, ‘버리고 채우길 소망하는 나’, ‘힘들었을 나를 위로 함’, ‘새롭게 시작하는 나’, ‘새롭게 내 미래를 그려봄’이다. 참여자들의 심리적 변화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상처 경험을 의식하고 이 때문에 우울감이 나타났음을 이해 하였다. 둘째, 자기인식의 비합리성을 인정하고 수정하여 관계 형성을 도모하고, 지나온 삶 속에서 행복했던 기억들을 찾아 정서적 안정감을 이루려 하였다. 셋째, 기존의 선입견에서 벗어나 꿈을 찾아 계획을 세우며 미래상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명화감상 프로그램의 질적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우울성향 청소년의 명화감상 프로그램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한 것에 의의가 있다.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Teenagers Participation in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 for Depression

Park, Jung-Sun

Kim, Yeon-Su

Heo, Nan-Se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atment experiences of depressed youths 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the famous paintings appreci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this end, 9 high school girls with moderate or higher depressive level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hrough prior research twice a week from June 17 to July 24, 2019.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components derived from interviews conducted during the program are ‘recalling the pain', 'Losing direction and giving up', 'Hoping to throw away and fill', ’Consoling me who struggled‘, 'A new beginning', and 'Drawing my future'. The participants' psychological changes a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aware of the injury experiences and understood that this caused depression. Second, they attempted to form relationships by acknowledging and revising the irrationality of self-awareness, and seeking emotional stability by finding happy memories in the past. Third, they deviated from the existing preconceptions and made plans for the future. This study is to deeply explore the depressive youth’s experience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 when the qualitative study of the program is insufficient.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