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논문검색

홈 • 학회지 • 논문검색

pISSN: 1975-759X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8 no.3 (2022)
pp.107~134

DOI : 10.32451/KJOAPS.2022.18.3.107

- 음악치료 진단평가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황성하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예술심리치료학과 박사수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 현장에서 음악치료사가 수행하는 진단평가를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 학위 및 음악치료 자격증 취득 이후 임상 경력 최소 5년 이상, 평균 9년의 음악치료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면담 내용은 연구자를 포함 한 합의팀이 합의를 거쳐 결과를 도출하는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진 단평가를 위한 치료사의 음악적 중재’, ‘진단평가를 위한 치료사의 비음악적 중재’, ‘내담자의 음악적 행동’, ‘내담자의 비음악적 행동’ 등 네 개 영역과 30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 결과 음 악치료사는 음악적 관계와 경험 및 도전을 통해 내담자를 파악하고 내담자의 반응적, 능동적, 관계적 음악 행동을 다양하게 파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음악치료사는 내담자의 진단 적, 발달적 이해를 통해 강점 및 필요를 파악하고 신체, 의사소통, 저항 등을 살펴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음악치료사가 내담자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비음악적 정보를 제공하고 내담자의 음악적 행동과 비음악적 행동에 관한 실용적 이해를 돕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음악치료사의 음악적 중재와 내담자의 음악적 행동 영역은 음악치료의 정체성을 확립시켜주는 요인으로 음악적 맥락 기반의 음악치료 진단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 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f Music Therapy Assessment

Hwang, Sung-H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sic therapists' music therapy assessment.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7 music therapists. They have at least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their average experiences are 9 years after obtaining a degree in music therapy and a certification in music therapy.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our domains “therapist's musical intervention for assessment”, “therapist's non-musical intervention for assessment”, “client's musical behavior” and “client's non-musical behavior.” - and 30 associated categories were derived. This means that music therapists understood the client's musical strengths and needs, and apprehended client's active, reactive, and relational musical behaviors through musical relationships, experiences, and challenges. In addition, this means that music therapists identified non-musical strengths and needs through the diagnostic and developmental understanding of the client, and the body, communication, and resist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musical and non-musical information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clients, and helping the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clients’ musical and non-music behavior.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musical intervention of music therapists and the musical behaviors of clients, which are factors that establish the identity of music therap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ntext-based music therapy assessment tools.

다운로드 리스트